-
대한민국 무형문화재 전시회 정보 정리 (2025년 기준)국가문화재 2025. 6. 30. 08:39
대한민국은 긴 역사를 지닌 문화유산을 바탕으로 다양한 전통 예술과 기술을 이어오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무형문화재는 눈에 보이지 않지만 사람의 손끝과 정신 속에서 이어져 내려오는 소중한 자산입니다. 이런 무형문화재를 직접 보고 체험하고 이해할 수 있는 가장 좋은 기회는 바로 전시회입니다. 특히 국가무형문화재나 시 · 도시지정 무형문화재 전시회는 일반인에게 전통문화의 아름다움과 깊이를 전달하는 중요한 창구가 됩니다.
이 글에서는 국내에서 정기적으로 열리는 무형문화재 전시회들을 소개하고 전시의 특징과 참여 정보를 안내합니다.
국립무형유산원 무형문화재 전시 (전북 전주)
전시 개요
전라북도 전주에 위치한 국립무형유산원은 대한민국 무형유산의 중심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곳에서는 연중 다양한 기획 전시와 특별 전시가 열립니다. 특히 국가무형문화로 지정된 종목에 대한 깊이 있는 소개가 이루어 지고 있습니다.전시 특징
실물 영상과 실시간 체험 프로그램 운영
무형문화재 보유자(인간문화재)와의 만남 행사
청소년과 외국인을 위한 전통문화 해설 프로그램 제공
방문 정보
장소: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서학로 95
관람료: 무료
운영시간: 화요일부터 일요일 오전 10시 - 오후 6시 (월요일 휴관)
대한민국 무형문화재 대전 (서울 코엑스 등 순회 전시)
전시 개요
문화재청과 한국문화재재단이 주최하는 대한민국무형문화재대전은 전국의 국가무형문화재 및 시도무형문화재 보유자와 전승자들이 참여하는 대규모 전시입니다. 매년 서울을 비롯한 주요 도시에서 순회 형식으로 개최됩니다.전시 특징
전국 무형문화재 100여 종목 이상 참가
전통 공연, 시연, 체험, 전통음식 시식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
유튜브 및 SNS 실시간 방송으로 온라인 관람 가능
주요 참가 종목 예시
국가무형문화재 제1호 종묘제례악
국가무형문화재 제5호 판소리
국가무형문화재 제77호 유기장 등
참여 정보
최근 개최일: 2024년 10월 서울 코엑스
예정 장소: 2025년 대전예술의전당 예정
홈페이지: 한국문화재재단 공식 홈페이지 참고
서울무형문화축제 (서울 돈화문 국악당 및 종로 일대)
전시 개요
서울특별시가 주관하는 서울무형문화축제는 매년 가을 종로구 일대를 중심으로 열리는 지역형 무형문화재 전시회입니다. 서울시 지정 무형문화재 전승자들이 중심이 되어 시민과 소통합니다.전시 특징
서울시 지정 무형문화재 전승자 시연
전통 공예와 민속놀이 체험 공간 운영
역사문화 공간(돈화문 국악당, 창덕궁길)과의 연계 행사
방문 정보
장소: 서울 종로구 일대, 서울돈화문국악당
입장료: 무료
개최 시기: 매년 9~10월경
무형문화재 전수 교육관 기획전 (서울 강남구 봉은사로)
전시 개요
서울 삼성동에 위치한 무형문화재 전수교육관은 전통 기능·예술·놀이 등 다양한 분야의 전통기술을 시민들에게 알리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곳에서는 전통 공예품의 제작 과정을 가까이에서 볼 수 있는 전시와 교육 프로그램이 함께 운영됩니다.전시 특징
무형문화재 기능 보유자의 실연
체험 중심 워크숍 및 단기 강좌 운영
작품 전시 및 판매 부스 운영으로 전통 공예의 상용화 유도
방문 정보
위치: 서울특별시 강남구 봉은사로 406
입장료: 무료
운영시간: 평일 10:00~17:00 (주말 휴관, 프로그램에 따라 변동)
전주 전통문화관 무형문화재 시연 전시
전시 개요
전통문화의 중심지 전주한옥마을 인근에는 전주 전통문화관이 있습니다. 이곳에서는 지역 전통 장인들의 활동을 가까이서 볼 수 있는 상설 전시와 체험이 열립니다.전시 특징
전북 무형문화재 보유자 중심의 실시간 제작 시연
전통혼례, 전통요리, 소리 공연 등 다양한 전통문화 콘텐츠
관광객 맞춤형 설명과 다국어 해설 지원
방문 정보
위치: 전북 전주시 완산구 태조로 20
관람료: 무료
운영시간: 매일 09:00~18:00 (일부 체험은 예약제 운영)
마무리 및 전시회 활용 팁
무형문화재 전시회는 단순한 관람을 넘어 우리 전통문화의 진면목을 체험하고 이해하는 소중한 기회입니다. 특히 학교 교육, 가족 체험, 외국인 관광객 대상 콘텐츠로 활용도가 높습니다. 만약 직접 방문이 어렵다면 일부 전시회는 유튜브 채널이나 가상전시(VR) 플랫폼을 통해 온라인으로도 감상이 가능합니다.
전통문화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각 전시 일정과 프로그램을 미리 확인한 뒤 사전 예약이나 체험 신청을 통해 알찬 경험을 누릴 수 있습니다.
전시회는 그 자체가 살아있는 전통문화 수업이자 과거와 현재를 잇는 가교의 역할을 하게 됩니다.
'국가문화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묘제례악을 구성하는 악기 해부 – 전통의 소리를 만드는 열두 악기의 비밀 (0) 2025.07.01 손끝으로 만나는 전통, 대한민국 무형문화재 체험 가능한 곳 총정리 (0) 2025.06.30 판소리 공연 정보 - 전통의 소리, 오늘의 감동을 담다 (0) 2025.06.29 판소리 다섯 마당 전통 서사의 결정체 (0) 2025.06.29 무형문화재 판소리의 정의와 가치 (0) 2025.06.28